"평행선 그리며 대화 모색할 것
"평행선 그리며 대화 모색할 것으로 보이지만 단기 성사 가능성 작아"中 "추가 관세 인상 없지만 끝까지 싸울 것"…비관세 부문 '샅바싸움' 가능성트럼프와 시진핑[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권숙희 기자 = 미국과 중국이 나란히 상대국에 대해 100% 넘는 관세를 부과키로 하면서 양국 간 상품 무역 관계가 사실상 단절 수준으로 들어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중은 당분간 평행선을 그리며 대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이지만 단기간 성사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미중 모두에서 추가 관세 인상은 없다는 신호가 나온 가운데 비관세 부문에서도 '강 대 강' 대결이 벌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은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전날 84%로 올린 대미 관세율을 125%로 상향키로 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미국이 중국의 펜타닐 대응을 문제 삼아 부과한 20% 관세에 상호관세 125%를 더해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대중 누적 관세율을 145%로 재산정하자 맞불에 나선 것이다. 중국은 관세 인상 조치를 내놓으면서 "미국이 아무리 높은 관세를 계속 부과하더라도 경제적 의미는 없으며,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래픽] 미국-중국 관세전쟁(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중국이 내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종전 84%에서 125%로 상향키로 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관세 부과 조치 조정에 관한 고시를 11일 발표했다. 0eun@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중국은 "현재 관세 수준에서는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상품이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을 상대로 부과하는 관세율이 이미 정상적인 교역이 힘든 수준이 됐다는 것이다. 홍콩중문대학 선전캠퍼스 공공정책학원의 정융녠 원장은 중국 매체 CGTN과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60%나 500%나 차이가 없다"면서 "관세율이 60%를 넘어가면 이미 시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의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이라고 밝혔다. 발라 라마사미 중국유럽국제비즈니스스쿨(CEIBS) 경제학 교수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평행선 그리며 대화 모색할 것으로 보이지만 단기 성사 가능성 작아"中 "추가 관세 인상 없지만 끝까지 싸울 것"…비관세 부문 '샅바싸움' 가능성트럼프와 시진핑[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권숙희 기자 = 미국과 중국이 나란히 상대국에 대해 100% 넘는 관세를 부과키로 하면서 양국 간 상품 무역 관계가 사실상 단절 수준으로 들어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중은 당분간 평행선을 그리며 대화를 모색할 것으로 보이지만 단기간 성사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미중 모두에서 추가 관세 인상은 없다는 신호가 나온 가운데 비관세 부문에서도 '강 대 강' 대결이 벌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은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전날 84%로 올린 대미 관세율을 125%로 상향키로 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미국이 중국의 펜타닐 대응을 문제 삼아 부과한 20% 관세에 상호관세 125%를 더해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대중 누적 관세율을 145%로 재산정하자 맞불에 나선 것이다. 중국은 관세 인상 조치를 내놓으면서 "미국이 아무리 높은 관세를 계속 부과하더라도 경제적 의미는 없으며,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래픽] 미국-중국 관세전쟁(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중국이 내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종전 84%에서 125%로 상향키로 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관세 부과 조치 조정에 관한 고시를 11일 발표했다. 0eun@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중국은 "현재 관세 수준에서는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상품이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을 상대로 부과하는 관세율이 이미 정상적인 교역이 힘든 수준이 됐다는 것이다. 홍콩중문대학 선전캠퍼스 공공정책학원의 정융녠 원장은 중국 매체 CGTN과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60%나 500%나 차이가 없다"면서 "관세율이 60%를 넘어가면 이미 시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의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이라고 밝혔다. 발라 라마사미 중국유럽국제
"평행선 그리며 대화 모색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