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모터쇼인 ‘서울 모빌리티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5-04-04 04:38

본문

국내 최대 모터쇼인 ‘서울 모빌리티 쇼’에서 현대차·기아, BMW, 메르세데스 벤츠 등 주요 완성차 브랜드가 신차 21종을 국내에 최초 공개한다. 올해 서울 모빌리티 쇼는 3일 열린 미디어 데이에서 주요 신차를 언론에 공개한 것을 시작으로, 4일 공식 개막해 13일까지 이어진다. 현대차가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왼쪽 차량)와 전기차 ‘더 뉴 아이오닉 6’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왼쪽부터 현대차 현대외장디자인1팀 최홍석 책임연구원, 국내사업본부장 정유석 부사장, 대표이사 호세 무뇨스 사장, 현대디자인센터장 사이먼 로스비 전무./연합뉴스 현대차는 이날 수소 전기차 ‘디 올 뉴 넥쏘’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2018년 3월 출시된 넥쏘를 7년 만에 완전 변경한 모델이다. 전기 모터의 최고 출력이 150kW(킬로와트)로 기존보다 25% 높아졌다. 리어 오버행(차체 뒤쪽 끝에서 바퀴 중심까지 거리)이 80㎜ 늘어, 적재 공간도 510L(리터)로 넉넉해졌다. 골프백 4개를 실을 수 있는 크기다. 차의 전기를 외부 기기로 보낼 수 있는 ’실내외 V2L(Vehicle to Load)' 기능도 갖췄다. 정부가 공인하는 1회 충전당 주행거리가 아직 발표되진 않았지만, 현대차 측은 5분 충전해 700㎞ 이상 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기아는 올해 출시를 앞둔 목적 맞춤형 차량(PBV) ‘PV5′를 국내에서 처음 공개했다. 사용자들의 입맛에 따라 짐 운반, 교통 약자 이동용 등으로 실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현대차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는 플래그십 세단 ‘G90′을 기반으로 만든 콘셉트카(개발 방향을 담아 시험적으로 만드는 차) 2종을 선보였다. ‘엑스 그란 쿠페 콘셉트’와 ‘엑스 그란 컨버터블 콘셉트’다.수입차 중에선 메르세데스 벤츠가 2세대 완전 변경을 거친 ‘메르세데스-AMG GT’를 국내에 최초 공개했다. GT 모델은 벤츠 고성능 브랜드인 AMG 중에서도 정통 스포츠카를 가리킨다. BMW는 전기차 ‘뉴 i4 M50 xDrive 그란 쿠페’와 ‘뉴 iX M70 xDrive’, 오픈카 ‘더 뉴 MINI(미니) 쿠퍼 컨버터블’ 등 4종을 국내에 처음 공개했다.중국차 BYD도 이번에 처음 부스를 차렸다. 전기 세단 ‘실’을 이날 처음 공개하고 예약도 시작했4월에 피는 야생화를 그림으로 그려보는 것은 어떨까? 추상적이고 아름답게 그리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그대로를 그리는 '식물세밀화'로 말이다. 식물세밀화는 꽃의 해부학적인 구조뿐만 아니라 사진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한 것까지 그려내는 하나의 예술이자 또 과학적 자료다. 한국식물세밀화협회 이승현 부회장에게 세밀화의 매력과 그리는 법에 대해 물어봤다. 복사나무. 식물세밀화의 매력은 무엇인가요?사진술이 발달하고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달해도 사람의 눈과 손을 통해 완성되는 그림은 남다른 생명력이 있습니다. 또 제가 그린 세밀화를 보고 특정 식물을 구분하고 기억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보람도 있고 더욱 매력적으로 느껴지게 됩니다. 가장 그리기 어려운 식물은 무엇인가요?모든 식물은 저마다 특징이 있어 항상 어렵습니다. 단순한 형태의 식물은 관찰과 스케치는 쉽지만, 채색할 때 그 안에 가진 이야기를 묘사하는 것이 어렵고, 형태적으로 복잡한 식물은 스케치부터 머리가 아프지만 채색은 오히려 쉽기도 합니다. 특히 개화시기가 짧고, 작은 꽃이 모여 있는 모습의 식물들은 더 어렵습니다.세밀화를 그릴 때 필요한 도구 및 기자재는 어떤 것들인가요?기본적으로 스케치북, 연필, 지우개, 돋보기나 루페, 트레이싱페이퍼, 제도비 등이 필요합니다. 채색은 색연필이라면 색연필, 샌드페이퍼, 커터칼 등이, 수채화면 수채물감, 수채화 전용지, 수채화용 세필이 필요합니다.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 현미경을 이용하기도 하며, 이때는 해부용 칼, 핀셋, 페트리 디쉬, 현미경 자 등이 사용됩니다.보통 색연필로 그리는 것 같은데 다른 걸로 그리면 안 되나요?연필, 색연필, 수채화, 아크릴, 파스텔, 펜 등 다양한 재료 모두 가능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유독 대중화된 재료가 색연필이네요. 전 세계적으로 보면 수채화가 좀더 일반적인 재료랍니다. 학술적인 쓰임새가 높다면 잉크를 이용한 선화를 그립니다. 어떤 색연필이 가장 좋나요?색연필은 크게 수성과 유성으로 나뉩니다. 수성 색연필은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번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유성은 수성에 비해 무른 편입니다. 어떤 것을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만 초보자는 유성 색연필이 관리적인 측면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