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사 어도어와 전속계약 해지 소송 중인 뉴진스의 일부 부모가 이번 분쟁과 관련해 반대하고 있는 정황이 드러났다. 부모 간 이견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뉴진스와 소속사 간 전속 계약 분쟁은 지난해 4월 하이브와 산하 레이블인 어도어 민희진 전 대표의 갈등으로 시작됐다.뉴진스 멤버들은 지난해 11월 29일부터 어도어의 의무 미이행 등을 이유로 전속 계약이 해지됐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올해 1월 31일 뉴진스 부모는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개설하고, 뉴진스 입장을 대변하는 데 직접 나서고 있다. 그룹 뉴진스(왼쪽부터 하니, 민지, 혜인, 해린, 다니엘). /뉴스1 4일 업계를 종합해 보면 지난 3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 41부에서 열린 ‘전속계약 유효 확인의 소’ 첫 변론기일에서 재판장은 피고인 뉴진스 측에 “피고4에 대한 것”이라면서 “가정법원에서 친권 행사에 대한 결정이 나서 지금까지 소송행위를 다 추인했다는 진술이냐”고 확인했다.현재 뉴진스 멤버 중 미성년자는 혜인과 해린 두 명이다. 이 중 한 사람의 부모 사이에서 전속 계약 해지 소송을 위한 친권 행사에 이견이 발생했고,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가정법원에서 재판까지 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앞서 지난달 7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 50부에서 열린 소속사 지위 보전 가처분 질의에서도 유사한 언급이 나온 바 있다. 당시 가처분 재판부는 심문에 앞서 “대리인 문제를 정리해야 된다. 일단 현재 소송 대리권에 흠결이 있다”고 했었다.미성년자는 부모가 공동으로 친권을 대리하는데, 대리권에 흠결이 있다는 것은 부모 사이에 전속 계약 해지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지 않아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한 것이다.당시 뉴진스를 대리하는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는 “어제 심문기일(가정법원)이 있었고, 적어도 다음 주에는 결론 날 것”이라며 “결론 나면 제출해서 특별한 문제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변했다.이에 재판부는 “민소법(민사소송법)에 따르면 보정하도록 되어있는데 현재까지 흠결 보정이 되지 않았다”고 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그 영향으로 각국 주식시장이 곤두박질치면서 세계 500대 부자들의 자산도 하루 만에 2천80억 달러(약 302조 원)어치가 사라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을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선언했지만 메타플랫폼(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자산이 179억 달러(약 26조 원),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자산이 159억 달러(약 23조931억 원)어치 사라지는 등 미국 억만장자들의 자산 낙폭이 컸습니다. 현지시간 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다음 날 전 세계 주식시장에 급락세가 나타나면서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상위 500대 부자들의 총자산이 지수 집계 13년 만에 네 번째로 큰 하락 폭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절정에 달하던 때 이후로는 가장 큰 하락 폭입니다. 500대 억만장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자산 감소를 겪었는데, 평균 감소율은 3.3%였습니다. 메타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저커버그가 이날 메타 주가 9% 하락으로 개인 자산 179억 달러가 날아갔습니다. 달러 기준으로 가장 큰 자산 하락 폭입니다. 메타는 올 들어 2월 중순까지 거의 한 달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시가총액이 3천500억 달러 이상 올라 '매그니피센트 7'(애플,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테슬라, 엔비디아) 기업 중 단연 돋보이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2월 중순 이후에는 주가가 28% 하락했습니다. 아마존 창업자 베이조스도 아마존 주가가 9% 급락하는 바람에 개인 자산 159억 달러를 잃었습니다. 아마존 주가는 2월 최고점 대비 25% 이상 떨어졌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이날 테슬라 주가가 5.5% 하락하면서 개인 자산이 110억 달러(약 16조 원) 줄었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올해 차량 배송 지연과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논란으로 올해 들어 지금까지 1천100억 달러 떨어졌습니다. 이번 주 초에는 상대적으로 미국 생산 비중이 높은 테슬라가 관세 영향을 적게 받을 것이라는 분석과 머스크가 공직에서 물러나 테슬라 경영에 집중할 것이라는 보도 등으로 주가가 상승세를 탔지만 상호관세 발표 후 다시 급락했습니다. 유럽 최고 부자인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회장도 미국의 유럽연합(EU)에 대한 20% 관세 부과 발표로 파리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하락해 개인 자산 6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