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앵커 ▶파면 사흘째, 윤석열 전 대통령은 오늘도 대통령 관저를 떠나지 않았습니다.대신 탄핵 반대집회를 이끌어온 지지자들을 향해 또다시 메시지를 내놨는데요."좌절하지 말고 힘내라"며 "늘 곁을 지키겠다"고 말했습니다.민주당은 '극우세력을 선동하는 관저 정치로, 또 대한민국을 흔들려 한다'고 비판했습니다.첫 소식, 홍의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윤석열 전 대통령이 변호인을 통해 파면 이후 두 번째 입장을 내놨습니다.이번에도 자신을 응원해 준 지지자들만을 향한 메시지였습니다. 탄핵 반대 집회를 거론하며, '자유와 주권의 수호',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라고 추켜세웠고, '국민변호인단'을 향해 "좌절하지 말고 힘내라",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고 했습니다.파면 당일에도 '지지자들의 기대에 부응 못 해 죄송하다'고만 했던 윤 전 대통령. 국민의힘 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선 "대선에서 승리하길 바란다", 나경원 의원과의 차담에서도 "고맙다"는 말만 전했습니다.헌법재판소 결정을 존중한다거나, 반성과 사죄, 국민 통합의 표현은 지난 사흘 간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윤 전 대통령은 관저에서 퇴거할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파면 사흘째 저녁 청와대에서 나왔던 박근혜 전 대통령과 달리, 여전히 한남동 관저에 머무르면서 사실상 '관저 정치'를 하고 있는 겁니다.정치권에서는 즉각 비판이 잇따랐습니다.더불어민주당은 "내란수괴가 관저 정치로 또 대한민국을 흔들려 한다"며 "사죄의 의사도 없이 극우 세력을 선동한다"고 맹비난했습니다. [황정아/더불어민주당 대변인] "극렬 지지층을 선동해 자신의 안위를 지키겠다는 내란수괴의 후안무치함에 분노합니다."국민의힘 안에서도 쓴소리가 나왔습니다.[조경태/국민의힘 의원] "매우 부적절한 그런 행동이라 봅니다. 대통령이 헌법을 위반함으로써 탄핵을 당했으면 자중자애하고 자숙해야 된다…"윤 전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중에 서초동 사저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대통령경호처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통보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MBC뉴스 홍의표입니다.영[윤성효 기자]▲ 창원특례시청 전경.ⓒ 창원시청 국민의힘 홍남표 전 창원시장이 대법원에서 확정판결을 받아 시장직을 상실해 현재 창원시장이 공석인 가운데, 시장 보궐선거를 오는 6월 예상되는 대통령선거와 함께 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창원내일포럼(대표 차주목)은 6일 낸 자료를 통해 "창원시장 보궐선거는 6월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어야 한다"라고 했다.2022년 6월 지방선거에서 당선했던 홍남표 전 시장은 '후보매수'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항소심에서 징역 6월에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고, 지난 3일 대법원이 항소심 유지로 확정판결해 시장직을 잃었다.다음 지방선거는 2026년 6월 3일 치러진다. 홍 전 시장의 시장직 상실로 창원시장 공석 기간은 1년 2개월이나 된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창원시장 보궐선거를 실시할지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고, 조만간 심의를 열어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창원시장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면 선거 관련 비용은 해당 지자체인 창원시가 부담하게 된다. 국민의힘이 원인 제공해 치러지는 선거가 되는 셈이다.현행 공직선거법(제35조)에는 국회의원·지방의회의원 재보궐선거의 경우 매년 1회 실시하고, 지방자치단체장 재보선은 매년 2회 실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면서 관련 규정에는 재보선일로부터 임기만료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창원내일포럼은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만약 대통령 보궐선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창원시장 보궐선거는 공직선거법 규정에 의거 내년 동시지방 선거시에 치러져야 한다는 해석이 옳다"라고 했다.그러면서 이들은 "그러나 창원시장 보궐선거가 올 6월에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면, 창원시장 보궐선거가 대통령 선거일과 같이 2025년 6월 3일로 확정되더라도 내년 동시지방선거일인 2026년 6월 3일까지는 1년이라는 기간이 남아 있고, 임기만료일까지 기간이 1년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다"라고 했다.또 이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