훠궈를 즐겨 먹던 중국 여성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34회 작성일 25-04-06 21:43

본문

훠궈를 즐겨 먹던 중국 여성이 구강암 진단을 받은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주일에 네 번 이상 훠궈를 먹던 중국 여성이 구강암 진단을 받았다.최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평소 훠궈를 즐겨 먹던 여성 A씨는 입안에 여러 개의 흰 반점이 생기자 매운 음식을 자주 먹어 궤양이 나타난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흰 반점은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았고, 병원을 찾은 결과 구강암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병원 검사 당시 A씨의 혀와 볼, 입천장에는 종이조각처럼 보이는 여러 개의 흰 반점이 있었다. 이는 훠궈에 들어간 자극적이고 매운 양념이 구강 점막을 자극해 생긴 것이다.난징시 제2병원 종양과 주임 쉬한펑 교수는 "구강 점막의 흰 반점은 암이 발생하기 전 단계"라며 "만약 이 반점이 혀 뒤쪽, 입 바닥, 입천장, 입 모서리 부위에 나타나면 암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고, 환자의 약 50% 이상이 구강암에 걸린다"라고 말했다.쉬 주임은 "매년 약 100건의 구강암 환자를 치료하는데, 흡연과 음주 뿐 아니라 훠궈를 즐겨 먹은 게 원인이 된 사례도 적지 않다"면서 "구강 점막이 자극을 받으면 두꺼워지면서 자극에 둔감해지고, 더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서 악순환으로 이어진다"라고 경고했다.자극적인 훠궈 자주 먹으면 구강 점막 손상될 수도훠궈는 고온의 육수에 매운 마라 소스를 비롯해 다양한 향신료가 들어가는 자극적인 음식이다. 따라서 훠궈를 자주 먹으면 입 안 점막에 열 손상과 염증이 누적되고, 미세한 상처가 아물지 못하고 만성화될 수 있다.이렇게 뜨겁고 매운 음식은 구강 점막을 반복적으로 자극해 세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데 중국 여성의 사례처럼 쉽게 사라지지 않는 흰색 반점은 조기 구강암 또는 전암성 병변일 가능성이 있다.2주 이상 지속되는 입 안 반점, 구강암 의심해야구강암이라면 병변이 작은 초기에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끝나지만, 암의 크기가 크다면 턱뼈, 혀의 일부, 림프절까지 절제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다.구강암 치료 후에는 말하기, 먹기, 삼키기 등의 기능 회복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혀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지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구내식당에서 청사 직원들이 속보를 확인하고 있다. 2025.04.04. dahora83@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면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비롯한 주요 환경 정책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2035 NDC는 윤석열 정부에서 수립을 시작했지만 차기 정부가 완성하게 됐다. NDC는 각국이 향후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얼마나, 어떤 경로로 줄일지를 담은 계획으로, 정부는 올해 9월 안에 2035 NDC를 유엔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3월부터 전문가 논의와 부처 협의를 거쳐 2035 NDC 수립을 진행해왔지만, 탄핵과 조기 대선이 큰 변수로 작용하게 됐다. 누가 집권하느냐에 따라 목표치와 로드맵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과거 사례만 봐도 NDC의 방향성은 정부마다 크게 달랐다.문재인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의지와 국제적 책임을 강조하며 2030 NDC를 26.3%에서 40%로 상향했으나, 윤석열 정부는 이 목표치가 국내 산업계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비현실적 목표라며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4.5%에서 11.4%로 낮췄다.이를 실현시킬 로드맵에서도 두 정부는 큰 차이를 보였다. 탈원전 기조였던 문재인 정부는 에너지믹스에서 원전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인 반면, 윤석열 정부는 원전을 발전 부문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 수단으로 삼았다. '기후환경부'의 운명도 확실치 않아졌다. 환경부는 기후 의제를 주도할 수 있도록 '기후환경부'로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밝혀왔다. 각 부처에 흩어진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관련 정책들을 환경부가 총괄해 기후위기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치권에서도 기후위기 문제를 전담할 컨트롤타워 부처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있다. 각론에는 차이가 있지만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확대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각각 발의하기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