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등재 당시 '노동 강요' 언급하고도 딴소리…
2015년 등재 당시 '노동 강요' 언급하고도 딴소리…정보센터 전시도 왜곡·부실작년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도 영향…한일, 추도식 등 놓고 갈등 여전일본 나가사키현 군함도[교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오는 5일이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규슈 나가사키현 '군함도' 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 정확히 10년이 된다. 나가사키시에서 배로 40분이면 닿는 하시마(端島)의 별칭인 군함도는 일본이 2015년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이하 '산업혁명유산') 중 하나다. 일본 정부는 산업혁명유산을 등재할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 설명과 관련된 조치를 이행하겠다고 공개 약속했지만, 아직도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 일본은 산업혁명유산 등재 이후 오히려 조선인 징용·위안부와 관련해 강제성이 없었다는 주장을 강화했으며, 세계유산에서 전체 역사를 외면하고 자국에 유리한 사실만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았다.'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 안내판[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군함도 외에도 강제노역 현장 많아…한일, 세계유산 등재 전후 외교전 치열 산업혁명유산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만들어진 조선, 제철·제강, 석탄 산업 시설 23개로 구성된다. 일본은 조기에 산업화를 이룩한 서양에서 멀리 떨어진 동양 섬나라가 반세기에 걸쳐 추진한 공업화의 흔적이라는 점에서 이들 유산에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이들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지역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군함도를 포함해 야하타 제철소, 나가사키 조선소, 다카시마 탄광 등 7곳에서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동원된 조선인 수만 명이 노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과 일본은 2015년 독일에서 개최된 세계유산위원회 막판까지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고, 일본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라는 자문기구 권고를 충실히 반영할 것이라고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밝혔다. 당시 일본 대표는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동원돼 가혹한 조건 하에서 노동을 강요당했다"며 일본은 정보센터 설치 등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일2015년 등재 당시 '노동 강요' 언급하고도 딴소리…정보센터 전시도 왜곡·부실작년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도 영향…한일, 추도식 등 놓고 갈등 여전일본 나가사키현 군함도[교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오는 5일이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규슈 나가사키현 '군함도' 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 정확히 10년이 된다. 나가사키시에서 배로 40분이면 닿는 하시마(端島)의 별칭인 군함도는 일본이 2015년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이하 '산업혁명유산') 중 하나다. 일본 정부는 산업혁명유산을 등재할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 설명과 관련된 조치를 이행하겠다고 공개 약속했지만, 아직도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 일본은 산업혁명유산 등재 이후 오히려 조선인 징용·위안부와 관련해 강제성이 없었다는 주장을 강화했으며, 세계유산에서 전체 역사를 외면하고 자국에 유리한 사실만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았다.'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 안내판[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군함도 외에도 강제노역 현장 많아…한일, 세계유산 등재 전후 외교전 치열 산업혁명유산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만들어진 조선, 제철·제강, 석탄 산업 시설 23개로 구성된다. 일본은 조기에 산업화를 이룩한 서양에서 멀리 떨어진 동양 섬나라가 반세기에 걸쳐 추진한 공업화의 흔적이라는 점에서 이들 유산에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이들 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지역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군함도를 포함해 야하타 제철소, 나가사키 조선소, 다카시마 탄광 등 7곳에서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동원된 조선인 수만 명이 노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과 일본은 2015년 독일에서 개최된 세계유산위원회 막판까지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고, 일본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라는 자문기구 권고를 충실히 반영할 것이라고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밝혔다. 당시 일본 대표는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2015년 등재 당시 '노동 강요' 언급하고도 딴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