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예술 단체 루앙루파(Ruangrupa). 아시아인으로, 큐레이터가 아닌 작가 그룹 최초로 2022년 독일 카셀에서 열린 ‘도큐멘타 15’의 예술감독으로 선정돼 주목받았다. 사진은 2019년 감독 선정 발표 직후 자카르타포스트의 기획 기사에 실린 루앙루파 멤버들의 모습. 자카르타포스트 제공 미술가란 누구일까.르네상스 이래 미술가는 천재적인 1인의 예술인으로 여겨져왔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가 그랬다. 그 전통은 20세기 한국에서도 지속됐다. 우리가 김환기, 천경자, 박서보 등을 기억하는 것처럼 말이다.콘크리트처럼 단단했던 1인 천재 미술가 개념에 21세기 들어 금이 가고 있다. 새로운 작가상을 향한 혁신적인 실험은 인도네시아에서 일어났다. 2000년 자카르타에서 결성된 작가 그룹 루앙루파(현지어로 ‘예술을 위한 공간’이라는 뜻)가 혁신의 주역이다. 이들은 한국에서 하는 광주비엔날레에도 2002년, 2004년, 2018년 등 여러 차례 초대받았다.루앙루파의 혁신성은 구성원이 고정적이지 않고 계속 불어났다는 점이다. 유동성을 갖고 있다는 점, 여러 세대에 걸쳐 멤버가 구성돼 있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마치 생물 같다. 이런 성격의 작가 그룹은 이전에는 없었다. 그럼에도 20년 넘게 건재한다. 2022년엔 아시아인 최초로 독일의 현대미술제 카셀 도큐멘타의 감독까지 맡는 등 국제 미술 무대에서 확실하게 존재감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들에게서 영향을 받은 작가 그룹이 탄생하고 있다. 2022년 독일 카셀에서 열린 ‘도큐멘타 15’ 주 전시장인 프리데리치아눔 미술관 앞 정면 기둥이 낙서 같은 문자와 형상의 드로잉으로 채워져 있다. 국민일보DB 생물처럼 부풀고+세대가 섞여 루앙루파는 인도네시아에서 수하르토 독재정권이 무너지고 2년 뒤 권위주의 시대를 벗어나면서 새롭게 얻은 자유를 활용해 전시 공간, 출판서비스, 워크숍, 연구, 축제, 행사 기획 등을 하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전 정부효율부 수장을 향해 삿대질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국정 의제를 포괄한 법안을 비판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해 "많은 것을 잃을 수 있다"며 경고 메시지를 전했다.A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의 불법이민자 구금 시설을 시찰하기 위해 워싱턴DC 백악관을 떠나기 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머스크의 법안 반대에 대해 질문받자 "그는 화가 났다. 그는 전기차 의무화 조치를 잃게 됐다고 말한다"며 "그는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머스크는 친(親)환경 지원 정책 폐지와 대규모 감세 등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의제를 포괄한 이른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대해 전날 "정신 나간 지출법안이 통과되면 그 바로 다음 날 '아메리카당'이 창당될 것"이라며 '신당 창당' 가능성을 거론했다.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새벽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머스크가 운영하는 기업들이 받는 정부 보조금을 줄여 연방 예산을 절감해야 한다고 적었다.'머스크가 훨씬 더 많은 것을 잃게 될 것'이란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머스크가 운영하는 기업과의 정부 차원 계약 해지, 해당 기업들에 대한 정부 보조금 삭감 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뿐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으로 미국 국적자인 머스크를 남아공으로 추방할지에 대한 질문에 "모르겠다"면서도 "우리는 (추방 가능성을)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그러면서 "우리는 정부효율부(DOGE)가 일론(머스크)을 맡도록 해야할 지도 모른다"며 "정부효율부는 일론을 잡아먹어야 할지 모르는 괴물"이라고 말했다.머스크가 지난 5월 말 백악관을 떠나기 전까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부 조직과 인원 축소 및 지출 삭감 과업을 수행하며 이끌었던 조직인 정부효율부를 활용해 머스크의 회사에 대한 보조금 삭감 및 계약 해지 등을 추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다.이로써 지난달 빚어진 갈등이 봉합되나 싶었던 트럼프 대통령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