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4%대까지 올라왔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1일) '부동산 PF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 현황과 사업성 평가 결과, 제도 개선 추진 방향 등을 논의했습니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4.49%로, 전 분기 대비 1.07%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금융당국이 PF대출 연체율을 정기적으로 공개한 이래 해당 지표가 4%대에 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PF 대출 연체율은 2022년 6월 말(0.66%) 이후 지난해 6월 말(3.51%)까지 계속 오르다가 지난해 9월 말(3.51%), 12월 말(3.42%) 2분기 연속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번에 다시 1%P 넘게 올랐습니다. 금융위는 "계절적 요인과 더불어 대출잔액(연체율 산식의 분모) 감소 폭(-7조 9천억 원) 확대된 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국내 금융권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와 관련해 노출된 투자 규모, 즉 익스포져는 190조 원 정도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보다 11조 5천억 원 감소한 수칩니다. 부실 여신으로 분류되는 '유의'·'부실 우려' 익스포져는 3월 말 기준 21조 9천억 원으로 전체 PF 익스포져의 11.5% 수준에 이르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2조 7천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PF 유형별로는 본PF 6.1조 원, 브릿지론 3.8조 원, 토지담보대출 12.0조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권이 11.3조 원으로 가장 많은 부실여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금융회사의 자본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최저 규제비율을 미충족한 금융회사는 없었습니다. 금융당국은 "올해 상반기까지는 PF 정상화 펀드 등을 통해 총 12조 6천억 원(52.7%) 규모의 정리가 진행된다"면서, "당국은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으로 인한 추가 부실 확대에 대비해 정리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4%대까지 올라왔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1일) '부동산 PF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 현황과 사업성 평가 결과, 제도 개선 추진 방향 등을 논의했습니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4.49%로, 전 분기 대비 1.07%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금융당국이 PF대출 연체율을 정기적으로 공개한 이래 해당 지표가 4%대에 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PF 대출 연체율은 2022년 6월 말(0.66%) 이후 지난해 6월 말(3.51%)까지 계속 오르다가 지난해 9월 말(3.51%), 12월 말(3.42%) 2분기 연속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번에 다시 1%P 넘게 올랐습니다. 금융위는 "계절적 요인과 더불어 대출잔액(연체율 산식의 분모) 감소 폭(-7조 9천억 원) 확대된 게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국내 금융권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와 관련해 노출된 투자 규모, 즉 익스포져는 190조 원 정도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보다 11조 5천억 원 감소한 수칩니다. 부실 여신으로 분류되는 '유의'·'부실 우려' 익스포져는 3월 말 기준 21조 9천억 원으로 전체 PF 익스포져의 11.5% 수준에 이르는 걸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2조 7천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PF 유형별로는 본PF 6.1조 원, 브릿지론 3.8조 원, 토지담보대출 12.0조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권이 11.3조 원으로 가장 많은 부실여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금융회사의 자본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며, 최저 규제비율을 미충족한 금융회사는 없었습니다. 금융당국은 "올해 상반기까지는 PF 정상화 펀드 등을 통해 총 12조 6천억 원(52.7%) 규모의 정리가 진행된다"면서, "당국은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으로 인한 추가 부실 확대에 대비해 정리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