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12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7-14 02:33

본문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12일부터 6일간의 중국 순방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예고로 전 세계가 긴장하는 가운데 안보는 미국에, 경제는 중국에 의존해온 호주의 총리가 다시 베이징을 찾은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왼쪽)는 13일(현지시간) 엑스에 “상하이에서 따뜻하게 맞아준 천지닝 상하이 당서기에게 감사한다”며 천 서기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다. 엑스 앨버니지 총리는 13일(현지시간) 엑스에 “상하이에서 따뜻하게 맞아준 천지닝 상하이 당서기에게 감사한다”며 천 서기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다. 그는 “호주와 중국의 관계는 우리의 경제와 안보에 매우 중요하다”며 “상하이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많은 호주·중국 기업들과의 교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총리실에 따르면 앨버니지 총리는 이번 방중 기간 상하이, 청두, 베이징을 차례로 방문하며 시진핑 국가주석, 리창 국무총리,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과 회담할 예정이다. 총리실은 이번 방중에서 글로벌 및 지역 현안뿐 아니라 무역과 관광을 포함한 양국 협력 방안도 폭넓게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번 방문은 민감한 시점에 이뤄졌다. 호주 ABC방송은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가 재등장한 가운데 중국은 호주에 필수적인 경제 파트너이자 전략적 위협이라는 이중적 존재”라고 했다. 중국은 호주의 최대 교역국으로, 양국 교역은 호주 전체 무역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앨버니지 총리는 출국 전 “중국과의 관계는 곧 호주의 일자리”라며 “아주 단순한 공식”이라고 말했다. 집권 노동당 정부는 재선 이후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부활을 핵심 국정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하지만 외교·안보 환경은 복잡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방중이 호주와 중국 관계 안정화의 신호이긴 하지만 미국과의 거리 조율이 쉽지 않다고 분석한다. 제임스 로런스슨 시드니공대 호주중국관계연구소장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앨버니지 총리의 방중을 미국은 반기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호주 국내에서는 외교적 균형을 시도하는 총리에 대해 긍정적 평가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이 호주의 국익에 반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경우, 이에 무조건 저자세로 대응하는 지도자는 국내에서 역풍을 맞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번 방중은 미국이 오커스(AUKUS, [앵커]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시행된 위약금 면제 조치가 오늘 종료되는 가운데 이동통신 3사의 고객 유치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신형 스마트폰 출시와 단말기 유통법 폐지 등이 맞물리며 뺏고 뺏기는 이통사의 점유율 싸움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 시내의 이동통신사 공식 대리점입니다. SK텔레콤의 해지 위약금 면제를 내세워 공격적인 고객 끌어모으기가 한창입니다. [방세희 / 서울 상월곡동 : 제 주변에 SKT를 사용하던 친한 사람들이 많은데 이번 사태 이후로 거의 (통신사를) 옮겨서 // 발표 이후로 급하게 좀 정리를 해서 옮기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실제로 지난 4월 해킹 사태 이후 통신사를 옮긴 SK텔레콤 가입자 수는 80만 명에 육박합니다. 새로 유치한 고객을 포함해도 순감 규모는 57만 6천여 명에 달합니다. 시장 점유율 40%가 깨질 위기에 놓인 SK텔레콤은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통해 고객 지키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기존 고객은 물론 신규 고객에게도 요금 할인과 무상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휴 업체 할인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규호 / SK텔레콤 고객 : (감사) 패키지로 해도 저 같은 경우에는 좀 좋은 혜택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차후에 그래도 SK 대기업이니까 기기 변경 쪽에 좀 더 돈을 쓰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갖고 있긴 합니다.] 위약금 면제 기한이 끝난 뒤에는 곧바로 보조금 경쟁으로 불씨가 옮겨붙을 전망입니다. 오는 22일 '단말기 유통법'이 폐지되면서 곧 출시되는 삼성전자의 신형 스마트폰에 상한선 없이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지난달부터 이통 3사가 신형 스마트폰에 지급하는 보조금 규모는 최대 1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단통법이 폐지되더라도 보조금을 앞세워 비싼 요금제나 부가 서비스 가입을 유도하는 건 규제 대상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하지만 확고했던 이통 3사의 점유율 구조가 흔들리고 있는 만큼 과열된 경쟁은 당분간 쉽게 진정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태민입니다. 촬영기자 : 양준모 디자인 : 권향화 YTN 김태민 (tmkim@ytn.co.kr)※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