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제작사 바람픽쳐스, 영화 제작사 월광,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공동 제작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악연'의 한 장면. 사진 제공=넷플릭스 카카오엔터가 바람픽쳐스, 영화사월광과 공동제작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악연'의 한 장면으로 '사채남'(이희준 분)과 길용. 사진 제공=넷플릭스 [서울경제] ‘오징어 게임’ 시리즈 이후 ‘무빙’ ‘폭싹 속았수다’ ‘악연’ 등 K드라마가 잇달아 글로벌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영화 감독 출신인 황동혁 감독과 영화 제작사 퍼스트맨스튜디오가 제작한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글로벌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영화와 드라마 제작사 간 협업이 확대되며 나타난 현상이다. 코로나19 이후 직격탄을 맞았던 제작사들이 협업이라는 전략을 짜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영화 제작사가 보유한 장르적 감각과 화려한 영상미, 드라마 제작사의 치밀한 기획력과 스토리텔링 역량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영화·드라마 제작사 간 공동 제작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11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035720)엔터테인먼트는 산하 영화·드라마 제작사 간 공동 제작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카카오엔터 본사도 산하 영화 제작사와 드라마 공동 제작에 나서고 있다. 카카오엔터는 영화 제작사 월광, 사나이픽처스, 영화사 집을 비롯해 드라마 제작사 바람픽쳐스를 잇달아 인수하며 영화와 드라마 제작사를 두루 갖춘 ‘멀티 콘텐츠 제작사’로 떠올랐다.특히 최근 바람픽쳐스는 영화 제작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성공 사례를 만들고 있어 주목된다. ‘국민 드라마’로 떠오른 ‘폭싹 속았수다’는 팬엔터테인먼트(068050)와 공동 제작했다. 2023년에는 영화 ‘신세계’ ‘무뢰한’ ‘헌트’ 등의 사나이픽처스와 협업해 디즈니+의 오리지널 ‘최악의 악’을 만들었다. 이 작품은 공개 2주 만에 국내 1위에 올랐고 일본, 홍콩, 터키 등 6개국에서 ‘톱10’을 꾸준히 유지했다. 이달 4일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악연’도 영화사 월광과 바람픽쳐스, 카카오엔터가 공동 제작했다. 이 작품은 공개 직후 넷플릭스 TV쇼 부문 글로벌 4위에 올랐다. 바람픽쳐스가 팬엔터테인먼트와 공동 제작한 넷플릭스 [김병기 기자]▲ 지난 9일 <중앙일보> 지면과 온라인판에 실린 '산불과 물난리를 대하는 환경단체의 태도'란 제목의 기사ⓒ 중앙일보PDF 전제가 틀리면 그 값은 거짓이고 궤변이다. 무분별한 하천 준설과 임도 난립, 세종보 재가동에 반대하는 환경단체를 싸잡아 비판한 지난 9일자 <중앙일보> '산불과 물난리를 대하는 환경단체의 태도' 칼럼(로컬 프리즘)을 보면서 든 생각이다. 하천을 준설하면 무조건 홍수가 예방되나? 산불 진화가 어려웠던 건 임도가 없어서였을까? <중앙> 칼럼은 환경단체를 훼방꾼인양 몰아붙이면서 정작 그 전제가 되는 질문에는 응답하지 않았다.[하천 준설] 대전 3대 하천의 재퇴적... 밑빠진 독에 물붓기▲ 대규모 준설을 진행하는 갑천 모습ⓒ 이경호▲ 불무교 상류를 준설중인 모습ⓒ 이경호 <중앙> 김방현 대전총국장이 환경단체를 비판하는 데 제일 먼저 쓰인 소재는 대전시의 대전천·유등천·갑천 등 3대 하천 준설사업이다. 대전시는 190억 원을 투입, 총 20.7㎞ 유역에서 25t 트럭 3만7000대 분량의 퇴적토 50만4000㎥를 퍼내고 있다. 김 국장은 "(이는) 통수 단면(물그릇)을 확보, 집중호우에 대비하기 위해서"라고 적시했다. 대전시 입장이기도 하다. 김 국장은 "대전시가 일방적인 준설로 하천 생태를 파괴하고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고 반발하는 환경단체 입장을 전하면서도, 또 "환경단체는 '기후변화에 따른 물난리에 대비해야 한다'고도 한다, 도대체 어쩌자는 말인지 모르겠다"고 힐난했다. 하지만 그가 대전 지역 환경단체 홈페이지에 떠있는 보도자료만 봤다면 환경단체들이 무슨 말을 하는 지는 확인할 수 있다.김 국장과 대전시는 하천 준설이 홍수 예방의 만병통치약인양 주장하지만,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은 그동안 준설의 효과와 경제성 등을 면밀하게 검증해왔다. 두 단체는 지난해 10월 23일에 발표한 성명을 통해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퇴적되는 효과 없는 준설을 중단하라"고 촉구하며 현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이들이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