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적자를 상대국의 ‘관세 장벽’ 탓으로 돌리고 있지만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양국 산업 간 상호보완적 구조에서 비롯된 정당한 성과라는 분석이 나왔다.산업연구원은 13일 ‘한국 대미 수출의 구조적 분석: 수지 불균형을 넘어선 산업 연계 구조’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수지를 숫자로만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정교한 산업적 맥락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대중국 무역 제재를 본격화한 2015년 이후부터 미국의 한국산 수입은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중국산 수입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는 점을 강조했다.한국무역협회와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에 따르면 반도체, 철강, 2차전지 등 대표적인 중간재의 대미 수출은 2020∼2024년 사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대미 수출 증가율은 반도체 43.2%, 철강 94.6%, 2차전지 216.8%, 석유제품 119.6%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국의 중국산 수입은 2015년 5040억달러에서 2019년 4725억달러, 2023년 4626억달러로 감소했다.이는 미국의 대중국 견제와 한국의 대미 투자가 맞물려 나타난 변화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국 기업들의 대미 직접투자가 확대되면서 ‘한국산 산업재 조달 → 중간재 및 자본재 수출 증가 → 산업 연계성 강화’ 구조가 형성됐다는 것이다.한국의 대미 그린필드 투자도 급증했다. 2014년 400억달러에 못 미쳤던 누적 투자액은 2023년 기준 1300억달러에 육박했다. 같은 기간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 수는 1만1101개에서 1만5876개로 43% 늘었다. 그린필드 투자는 현지에 공장, 연구소 등 새로운 사업 시설을 새로 짓는 것을 의미한다.보고서는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필요한 중간재를 점차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이들 기업의 현지 매입 비중은 2020년 28.3%에서 2023년 32.1%로 증가했다.보고서는 “한국산 중간재와 자본재의 수출 확대에 따른 무역흑자는 한국 수출이 미국 산업 성장에 기여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며 “향후 통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만사를 제쳐놓고 이 회사 공장을 찾았다. 그만큼 삼성에게 위협적인 실적과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미국 주식 주가가 떨어지는 와중에도 이 상장사 주가는 치솟았는데, 최근 자기 회사 주식 매각을 통해 약 8조원을 현금화했다. 올해로 창립 15주년을 맞은 이 회사는 3개월 매출이 1000억 위안을 넘겼다. 이 상장사 이름은 뭘까.최근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서학개미들도 이 상장사에 주목하고 있다. 바로 샤오미다. 최근 한달(3월5일~4월4일) 순매수 결제(매수-매도액) 기준으로 ‘넘버5’가 됐다. 샤오미 앞으로는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아이온큐 등이다. 그러나 4곳의 미국 주식 올해 주가 수익률은 모두 마이너스(-)다. 이에 반해 샤오미는 올 들어 4월4일까지 주가가 35%나 급등했다. 미·중 빅테크 주가수익률(2025년 들어 4월4일까지). <자료=구글파이낸스> 분기 1천억 위안 시대 연 ‘대륙의 실수’ 샤오미샤오미 이름 만큼이나 유명한 문구가 ‘대륙의 실수’다. 이윤을 남길 지 걱정될 정도로 싼 가격에 좋은 제품을 만든다는 칭찬의 의미로 샤오미에 달린 태그다. 트럼프가 일으킨 관세전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샤오미와 같은 가성비 제품의 시대가 왔음을 알리고 있다. 샤오미는 2024년 4분기에 매출 1090억520만 위안을 기록했다. ‘분기 1000억 위안 시대’를 올해로 창립 15주년에 앞서 달성한 것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연간 매출은 4739억8230만 위안이다. 4일 환율로 약 94조 7620억원에 달한다. 매출 기준으로는 삼성전자의 3분의 1이며 LG전자(2024년 88조원)에 다소 앞섰다. LG전자는 스마트폰 사업을 포기했지만, 샤오미 스마트폰은 글로벌 ‘넘버3’로 올라섰다. 샤오미 스마트폰. <사진=홈페이지 캡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2등은 애플(작년 18.5%)과 삼성전자(18.2%)다. 이 양강 체제를 위협하는 곳이 샤오미(13.8%)다. 애플과 삼성은 전기차 사업에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는데 샤오미는 전기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