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65주년 특별기획]◆ 디지털 결제 빅뱅이 온다 <1> 中, 금융격변의 최전선-상하이작년 7월 기준 누적거래 7.3조위안외국인도 하루 500위안 한도 충전스타벅스·버거킹 등서 간편 사용23곳 중 7곳만 받아 확장성 한계28일 중국 상하이 루캉맨션 인근 스타벅스에서 스마트폰으로 디지털위안화(e-CNY)를 사용하자 결제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떠 있다. 심우일 기자중국 상하이의 번화가 난징루 일대가 지나가는 행인들로 북적이고 있다(오른쪽 사진). 이곳 주요 대부분의 상점에서는 e-CNY 결제가 가능하다. 심우일 기자[서울경제] “티셔츠 사려고 하는데 디지털인민폐(위안화) 결제 가능합니까?”6월 28일 중국 상하이의 한 허름한 의류 점포. 기자와 동행하던 한국인 유학생 A 씨가 스마트폰에 깔려 있는 디지털위안화(e-CNY) 애플리케이션을 켜며 이같이 묻자 가게 주인이 탁자 위에 놓여 있던 한 QR코드 인쇄판을 가리켰다. e-CNY 앱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이 QR코드를 촬영하니 바로 결제가 완료됐다는 창이 떴다.e-CNY는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CBDC)다. 결제 방식은 알리페이·위챗페이와 동일하게 QR코드를 이용하면 된다. 오프라인 매장은 물론이고 타오바오나 메이퇀 같은 온라인 상거래·배달 플랫폼도 e-CNY를 지원한다. 인민은행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말 기준 e-CNY의 누적 거래액은 7조 3000억 위안에 달한다.서울경제신문은 27일부터 30일까지 결제 비용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유학생 A 씨에게 도움을 구해 e-CNY 지갑을 개설했다. 지갑을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중국 시중은행 계좌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인민은행은 2022년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외국인에게도 e-CNY 문호를 열고 있다.실제로 A 씨는 당초 비대면으로 계좌를 열었던 만큼 추가로 대면 인증을 거쳐야 했는데 단순히 창구에 여권을 제출하는 것만으로도 하루 500위안(약 9만 5000원) 한도로 충전이 가능한 e-CNY 지갑을 만들 수 있었다.실제로 e-CNY 지갑을 이용해보니 스타벅스 같은 다국적 기업 계열 점포에서는 결제가 비교적 원활했다. 버거킹에서는 무인 키오스크를 통해서도 e-CNY로 음식을 살 수 있었다. 일부 소상공인들도 e-CNY를[창간 65주년 특별기획]◆ 디지털 결제 빅뱅이 온다 <1> 中, 금융격변의 최전선-상하이작년 7월 기준 누적거래 7.3조위안외국인도 하루 500위안 한도 충전스타벅스·버거킹 등서 간편 사용23곳 중 7곳만 받아 확장성 한계28일 중국 상하이 루캉맨션 인근 스타벅스에서 스마트폰으로 디지털위안화(e-CNY)를 사용하자 결제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떠 있다. 심우일 기자중국 상하이의 번화가 난징루 일대가 지나가는 행인들로 북적이고 있다(오른쪽 사진). 이곳 주요 대부분의 상점에서는 e-CNY 결제가 가능하다. 심우일 기자[서울경제] “티셔츠 사려고 하는데 디지털인민폐(위안화) 결제 가능합니까?”6월 28일 중국 상하이의 한 허름한 의류 점포. 기자와 동행하던 한국인 유학생 A 씨가 스마트폰에 깔려 있는 디지털위안화(e-CNY) 애플리케이션을 켜며 이같이 묻자 가게 주인이 탁자 위에 놓여 있던 한 QR코드 인쇄판을 가리켰다. e-CNY 앱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이 QR코드를 촬영하니 바로 결제가 완료됐다는 창이 떴다.e-CNY는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CBDC)다. 결제 방식은 알리페이·위챗페이와 동일하게 QR코드를 이용하면 된다. 오프라인 매장은 물론이고 타오바오나 메이퇀 같은 온라인 상거래·배달 플랫폼도 e-CNY를 지원한다. 인민은행과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말 기준 e-CNY의 누적 거래액은 7조 3000억 위안에 달한다.서울경제신문은 27일부터 30일까지 결제 비용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유학생 A 씨에게 도움을 구해 e-CNY 지갑을 개설했다. 지갑을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중국 시중은행 계좌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인민은행은 2022년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외국인에게도 e-CNY 문호를 열고 있다.실제로 A 씨는 당초 비대면으로 계좌를 열었던 만큼 추가로 대면 인증을 거쳐야 했는데 단순히 창구에 여권을 제출하는 것만으로도 하루 500위안(약 9만 5000원) 한도로 충전이 가능한 e-CNY 지갑을 만들 수 있었다.실제로 e-CNY 지갑을 이용해보니 스타벅스 같은 다국적 기업 계열 점포에서는 결제가 비교적 원활했다. 버거킹에서는 무인 키오스크를 통해서도 e-CNY로 음식을 살 수 있었다. 일부 소상공인들도 e-CNY를 받는 모습이었다. 상하이 서부 지역에서 잡화점을 하는 첸메이링(가명) 씨는 “4~5년 전 중국건설은행 직원이 찾아와 e-CNY와 QR코드가 연동되는 계좌를 개설해줬다”고 설명했다.